200㎡이상 건축물, 신규 주택 내진설계 의무화 내진 설계 의무 대상 확대·16층 이상 대형건축물 안전영향평가 실시 □ 신규 주택과 소규모 건축물(연면적 200㎡이상)도 내진설계를 해야만 건축이 가능해졌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작년 경주 지진에 이어 크고 작은 지진이 일어남에 따라 지진 대응력을 높이고 국민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 건축 법령을 개정한 것이다. ㅇ 이번 개정안은 지난해 12월 정부에서 발표한 “지진방재 종합대책” (‘16. 12. 16. 권한대행주재 국민안전 민관합동회의)의 주요 내용을 공식적인 제도로 구현했으며, 건축물 안전영향평가 실시 대상도 구체화했다. □ 이번에 입법 예고가 되는 개정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진설계 의..
서울시 생활권계획(안) 발표 □ 서울시가 지역별 자족성을 강화하고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이끌어나가기 위해 새로운 도시계획체계인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을 발표했다. ○ 생활권은 지역의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이 공유되면서 생산과 소비, 주거와 교육‧문화, 여가와 친교활동 등 주민생활이 이뤄지는 공간적 범위로 흔히 ‘우리 동네’, ‘우리 지역’이라고 인식하는 정도의 지역 범위에 해당한다. □ 우선, '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새롭게 더해 53지구중심을 추가 설정, 서울의 중심지 체계를 최종 완성했다. 특히, 53지구중심 가운데 약 81%를 상대적으로 저개발‧소외된 동북‧서북·서남권에 집중 지정해 서울 구석구석으로 활력이 퍼지고 균형성장이 이..
2017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4.1% 감소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7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4.1% 감소한 38,755천㎡, 동수는 2.4% 증가한 59,605동이라고 밝혔다. ㅇ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17,135천㎡(△1,117천㎡, 6.1%↓), 지방 21,620천㎡(△537천㎡, 2.4%↓)이다. ㅇ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28,793천㎡, 동수는 1.1% 감소한 47,167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3,247천㎡(542천㎡, 4.3%), 지방 15,546천㎡(△182천㎡, 1.2%↓)이다. ㅇ 준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한 32,510천㎡, 동수는 3.2% 증가한 45,800동이며, 지역별로는 ..
2017년 1분기 땅값 0.74% 상승, 토지거래량은 10.6% 증가 제주>세종>부산 순으로 지가 상승률 높아…지속적인 모니터링 관리 철저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17년 1분기 누계 전국 지가는 0.74% 상승하여, ‘10년 11월 이후 77개월 연속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ㅇ 이는 전년 동기 지가변동률 0.56%에 비해 0.18%p 높고, 소비자물가변동률(1.1%)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 1분기 변동률 추이 : (’14년)0.45%→(’15년)0.48%→(’16년)0.56%→(’17년)0.74% [1] 지역별 지가변동률 □ (시도별) 전국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0.71%)보다 지방(0.78%)의 상승률이 소폭 높았다. ㅇ (수도권) 서울(0.7..
2017년도 공동주택 공시가격 발표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4월 28일 ‘17년도 공동주택가격*을 공시(관보 게재)한다. * 전국 공동주택 호수는 약 1243만 호이며, 유형별로는 아파트 993만 호, 연립주택 49만 호, 다세대주택 201만 호 ㅇ 또한, 같은 날 전국 250개 시․군․구에서도 개별단독주택 396만 호의 가격*을 각각 공시한다. * 국토교통부장관이 2월 2일 공시한 표준단독주택가격을 기준으로시장․군수․구청장이 해당 지역의 개별단독주택가격을 산정․공시 Ⅰ.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국토교통부장관 공시)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4월 28일 ‘17년도 공동주택가격*을 공시(관보 게재)한다. * 전국 공동주택 호수는 약 1243만 호이며, 유형별로는 아파트 993만 호, 연..
반포아파트 한신4지구아파트 재건축 추진 서초구 한신4지구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수정가결” □ 서울시는 2017년 04월 19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개최하고 서초구 잠원동 반포아파트지구(고밀)내 한신4지구아파트 주택재건축예정법적상한용적률(안)을 “수정가결”했다고 밝혔다. □ 주요 계획 내용으로는 당초 재건축 사업계획보다 구역계가 확장(녹원한신아파트 및 베니하우스 포함)되어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단지를 가로지르는 동서경관축 조성 및 지구 통경축 확보, 경부고속도로변 가로경관을 고려하여 건축물 높이 조정(25~35층→23층~33층)하였으며, 공공건축가를 선임하여 건축심의 전까지 경부고속도로변의 미관향상을 도모하도록 하였음. 또한 인근지역주민을 위해 (가칭)잠원문화센터를 단지내에 계획하여 지역주민..
구로디지털단지역 강남아파트 재건축 본격 추진 구로디지털단지역 강남아파트 재건축 사업이 그간 사업에 반대하던 구역을 제외하고, 역세권 장기전세주택과 뉴스테이 임대주택, 일부 일반 분양 구조로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변경 결정하여, 2018년 6월 착공할 예정이다. □ 이번 정비계획 변경의 주요내용은 재건축 사업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보육시설, 체육시설, 도로, 공공보행통로 등의 설치를 통한 공공기여와 소형 및 기업형 임대주택 도입, 예정법적상한용적률 406%로 계획이며, 최종 건축계획(안)은 향후 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 관악구 강남아파트에 대하여 작년초 해결책 마련을 위해 서울시-관악구-서울주택도시공사 등과 함께 TF를 구성하고, 관악구 강남아파트에 대하여 전폭적인 행정 및 재정지원으..
'2016년도 일반가구 주거실태조사' 결과 발표 - 자가점유율 상승, 전월세전환으로 월세비중 증가 -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 일반가구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주거안정성) 자가점유율은 '14년 53.6%에서 56.8%로 상승하였고, 전월세전환으로 임차가구 중 월세비중은 같은 기간 55.0%에서 60.5%로 증가하였다. □ (주거비부담) 자가가구의 연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14년 4.7배에서 '16년 5.6배로 증가한 반면,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은 같은 기간 20.3%에서 18.1%로 감소하였다. □ (주거이동성) 자가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10.6년(’14년 11.2년)으로 감소한 반면, 임차가구는 3.6년(’14년 3.5년)으로 소폭..
3월 주택 인허가, 착공, 분양 실적은 감소 준공실적은 증가 1. 인허가 실적 □ (종합) 3월 주택 인허가 실적은 전국 51,620호로 전년동월대비 16.4% 감소하고, 누계로는 전년동기대비 13.4% 감소한 141,100호 ㅇ누계 인허가 물량은 예년에 비해 높은 수준*이나, 전년동월대비 증감률은’16.12월 이후 4개월 연속 감소 * 3월 누계 인허가는 14.1만호로 5년평균(’12~’16년, 11.0만호)대비 28.2% 증가 □ (지역별) 수도권은 21,320호, 지방은 30,300호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25.0%, 9.1% 감소 □ (유형별) 아파트는 34,742호, 아파트 외 주택은 16,878호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14.7%, 19.7% 감소 2. 착공 실적 □(종합) 3월 주택 착공 실적은 ..
3월말 전국 미분양주택 6.1만호 전월대비 1% 증가 2017.3월말 전국 미분양주택 61,679호 전월대비 1.0% 증가 - 준공후 미분양(9,124호)은 전월대비 0.1% (12호) 감소 - □ 국토교통부(장관:강호인)는 3월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전월(61,063호)대비 1.0%(616호) 증가한 총 61,679호로 집계되었으며, * `16.12월 56,413호 → `17.1월 59,313호 → `17.2월 61,063호 → `17.3월 61,679호 ㅇ 준공후 미분양은 3월말 기준으로 전월(9,136호)대비 0.1%(12호) 감소한 총 9,124호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 `16.12월 10,011호 → `17.1월 9,330호 → `17.2월 9,136호 → `17.3월 9,12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