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6년 상반기 전국 땅값 1.25% 상승


 

  2016년 상반기 땅값 1.25% 상승

- 제주도(5.71%)와 세종시(2.10%)가 가장 높게 상승 -
- 전체토지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8.1% 감소, 순수토지는 1.6% 증가 -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 상반기(6월 누계) 전국 지가변동률이 1.25% 상승하여 ‘10년 11월 이후, 68개월 연속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ㅇ 올해 상반기 지가변동률(1.25%)은 전년 동기 1.07%에 비해 소폭 상승한 수준이다.
   * 상반기 변동률 추이 : (’13년)0.57%→(’14년)0.93%→(’15년)1.07%→(’16년)1.25%

  

< ‘08’16년 상반기 지변율 및 지가지수 >

(지변율 %, 지가지수는 ‘14.12.1=100)

구분

‘08.

‘09.

‘10.

‘11.

‘12.

‘13.

‘14.

‘15.

‘16.

지변율

전국

(지가지수)

2.72

(96.072)

-0.85

(92.434)

0.99

(95.050)

0.58

(95.662)

0.62

(96.816)

0.57

(97.693)

0.93

(99.151)

1.07

(101.236)

1.25

(103.850)

수도권

3.47

-0.96

1.13

0.63

0.54

0.51

0.93

1.01

1.12

지방

1.34

-0.66

0.72

0.49

0.79

0.70

0.93

1.18

1.48

소비자물가변동률*

2.50

1.07

1.69

2.53

1.14

0.86

1.01

0.37

0.45

 

* 물가 상승분을 감안한 실질적인 지가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비교 지표로 활용

 


 [1] 지역별 지가변동률
□ 전국 17개 시‧도 땅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1.12%)보다 지방(1.48%)의 상승 폭이 컸다.

 ㅇ (수도권) 서울(1.34%)은 ‘13.9월부터 34개월 연속 소폭 상승중이나, 인천(0.82%), 경기(0.95%) 지역은 전국 평균을 하회하였다.

 ㅇ (지방) 제주는 5.71% 상승하여 전국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세종, 대구 등 7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상회하였다.

   * 제주(5.71%), 세종(2.10%), 대구(2.00%), 부산(1.92%), 대전(1.66%), 서울(1.34%), 강원(1.34%)

 

□ (시군구별) 서귀포시(6.08%)는 제2공항 발표(‘15.11월) 이후 후보지 인근지역에 대한 투자수요 등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였고,

 ㅇ 울산 동구(-0.28%)와 거제시(-0.19%)는 조선업 경기침체에 따른 부동산 수요감소 영향으로 지가 하락을 나타냈다.

 

< ‘16년 상반기 지변율 상위 5개 지역 >

순위

지역

변동률(%)

주요사유(추정)

주요 읍면동(%)

1

제주 서귀포시

6.08

2공항 후보지 및 인근지역의 투자수요 등

표선면(8.25), 성산읍(7.78), 남원읍(7.38)

2

제주 제주시

5.49

신공항 인근 및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의 토지수요 증가

구좌읍(8.16), 조천읍(7.24), 애월읍(6.49)

3

부산 해운대구

3.85

센텀2지구 등 개발호재와 주택재개발 사업 진척

중동(4.41), 반여동(4.16), 송정동(4.15)

4

대구 달성군

2.44

1호선 연장 개통(하반기) 접근성 개선과 각종 개발사업

옥포면(4.33), 하빈면(3.25), 화원읍(2.79)

5

대구

남구

2.33

상업용부동산 투자수요와 단독주택지 가격 상승

대명동(2.46), 봉덕동(2.13), 이천동(1.71)

 

 

< ‘16년 상반기 지변율 하위 5개 지역 >

순위

지역

변동률(%)

주요사유(추정)

주요 읍면동(%)

1

울산

동구

-0.28

조선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수요 감소

방어동(-1.00), 미포동,동부동,서부동(-0.44), 화정동(0.10)

2

경남 거제시

-0.19

조선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수요 감소

장평동(-2.51), 아양동,아주동(-0.80), 능포동,두모동(-0.62)

3

인천 옹진군

0.30

도서지역의 농지 및 임야 거래 감소

연평면(-0.07), 대청면(0.16), 덕적면(0.20)

4

경기 부천 소사구

0.34

노후 주택지 수요 감소

송내동(-0.05), 소사본동(0.29), 범박동,괴안동,계수동(0.34)

5

전남 목포시

0.34

구도심 일대 주거 및 상업용지 수요 감소

복만동,보광동1,보광동2,보광동3(-0.16), 유동,금동1,금동2(-0.04), 산정동,대성동(-0.03)

 

 

 

 [2] 용도지역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 (용도지역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1.39%), 계획관리지역(1.32%), 상업지역(1.17%), 녹지지역(1.11%) 순으로 상승하였다.


□ (이용상황별)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지(1.40%), 전(1.38%), 상업용지(1.19%), 답(1.06%), 공장용지(0.93%), 임야(0.85%) 순으로 상승하였다.

 

 [3] 토지거래량
□ 올해 상반기 전체토지(건축물 부속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140.7만 필지(1,102.6㎢) 거래되어 최고치를 기록했던 ‘15년 상반기 대비 8.1% 감소(전기 대비 △9.5%)하였다.

 ㅇ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55.7만 필지(1023.2㎢)로 전년 상반기 대비 1.6% 증가하였다.


□ 지역별로 상반기 전체토지 거래량은 강원(24.1%), 제주(12.8%), 충북(6.5%) 순으로 증가한 반면, 세종(△39.4%), 대구(△35.0%) 등은 감소하였다.

  ㅇ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61.3%), 울산(15.4%), 경기(12.3%) 순으로 증가한 반면, 부산(△17.9%), 대구(△10.3%)는 감소하였다.


□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최근 주택거래량이 일부 감소하면서 전체토지거래량은 전년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ㅇ 최근 저금리영향으로 개발수요가 있는 지역의 토지매매 수요가 지속되어 예년과 같이 꾸준한 거래추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하였으며

  ㅇ “향후 높은 지가상승률을 보이는 지역에 대해서는 토지 가격과 거래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알부자" 부동산 전문 카페를 방문하세요~~

 http://www.rbuza.kr 


 공감, 덧글로 응원 부탁드려요~~~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