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6년 상반기 전국 땅값 1.25% 상승
2016년 상반기 땅값 1.25% 상승 |
- 제주도(5.71%)와 세종시(2.10%)가 가장 높게 상승 -
- 전체토지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8.1% 감소, 순수토지는 1.6% 증가 -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 상반기(6월 누계) 전국 지가변동률이 1.25% 상승하여 ‘10년 11월 이후, 68개월 연속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ㅇ 올해 상반기 지가변동률(1.25%)은 전년 동기 1.07%에 비해 소폭 상승한 수준이다.
* 상반기 변동률 추이 : (’13년)0.57%→(’14년)0.93%→(’15년)1.07%→(’16년)1.25%
< ‘08~’16년 상반기 지변율 및 지가지수 >
(지변율 %, 지가지수는 ‘14.12.1=100)
구분 |
‘08.상 |
‘09.상 |
‘10.상 |
‘11.상 |
‘12.상 |
‘13.상 |
‘14.상 |
‘15.상 |
‘16.상 | |
지변율 |
전국 (지가지수) |
2.72 (96.072) |
-0.85 (92.434) |
0.99 (95.050) |
0.58 (95.662) |
0.62 (96.816) |
0.57 (97.693) |
0.93 (99.151) |
1.07 (101.236) |
1.25 (103.850) |
수도권 |
3.47 |
-0.96 |
1.13 |
0.63 |
0.54 |
0.51 |
0.93 |
1.01 |
1.12 | |
지방 |
1.34 |
-0.66 |
0.72 |
0.49 |
0.79 |
0.70 |
0.93 |
1.18 |
1.48 | |
소비자물가변동률* |
2.50 |
1.07 |
1.69 |
2.53 |
1.14 |
0.86 |
1.01 |
0.37 |
0.45 |
* 물가 상승분을 감안한 실질적인 지가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비교 지표로 활용
[1] 지역별 지가변동률
□ 전국 17개 시‧도 땅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1.12%)보다 지방(1.48%)의 상승 폭이 컸다.
ㅇ (수도권) 서울(1.34%)은 ‘13.9월부터 34개월 연속 소폭 상승중이나, 인천(0.82%), 경기(0.95%) 지역은 전국 평균을 하회하였다.
ㅇ (지방) 제주는 5.71% 상승하여 전국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세종, 대구 등 7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상회하였다.
* 제주(5.71%), 세종(2.10%), 대구(2.00%), 부산(1.92%), 대전(1.66%), 서울(1.34%), 강원(1.34%)
□ (시군구별) 서귀포시(6.08%)는 제2공항 발표(‘15.11월) 이후 후보지 인근지역에 대한 투자수요 등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였고,
ㅇ 울산 동구(-0.28%)와 거제시(-0.19%)는 조선업 경기침체에 따른 부동산 수요감소 영향으로 지가 하락을 나타냈다.
< ‘16년 상반기 지변율 상위 5개 지역 > | ||||
순위 |
지역 |
변동률(%) |
주요사유(추정) |
주요 읍면동(%) |
1 |
제주 서귀포시 |
6.08 |
제2공항 후보지 및 인근지역의 투자수요 등 |
표선면(8.25), 성산읍(7.78), 남원읍(7.38) |
2 |
제주 제주시 |
5.49 |
신공항 인근 및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의 토지수요 증가 |
구좌읍(8.16), 조천읍(7.24), 애월읍(6.49) |
3 |
부산 해운대구 |
3.85 |
센텀2지구 등 개발호재와 주택재개발 사업 진척 |
중동(4.41), 반여동(4.16), 송정동(4.15) |
4 |
대구 달성군 |
2.44 |
1호선 연장 개통(하반기) 등 접근성 개선과 각종 개발사업 |
옥포면(4.33), 하빈면(3.25), 화원읍(2.79) |
5 |
대구 남구 |
2.33 |
상업용부동산 투자수요와 단독주택지 가격 상승 |
대명동(2.46), 봉덕동(2.13), 이천동(1.71) |
< ‘16년 상반기 지변율 하위 5개 지역 > | ||||
순위 |
지역 |
변동률(%) |
주요사유(추정) |
주요 읍면동(%) |
1 |
울산 동구 |
-0.28 |
조선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수요 감소 |
방어동(-1.00), 미포동,동부동,서부동(-0.44), 화정동(0.10) |
2 |
경남 거제시 |
-0.19 |
조선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수요 감소 |
장평동(-2.51), 아양동,아주동(-0.80), 능포동,두모동(-0.62) |
3 |
인천 옹진군 |
0.30 |
도서지역의 농지 및 임야 거래 감소 |
연평면(-0.07), 대청면(0.16), 덕적면(0.20) |
4 |
경기 부천 소사구 |
0.34 |
노후 주택지 수요 감소 |
송내동(-0.05), 소사본동(0.29), 범박동,괴안동,계수동(0.34) |
5 |
전남 목포시 |
0.34 |
구도심 일대 주거 및 상업용지 수요 감소 |
복만동,보광동1가,보광동2가,보광동3가(-0.16), 유동,금동1가,금동2가(-0.04), 산정동,대성동(-0.03) |
[2] 용도지역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 (용도지역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1.39%), 계획관리지역(1.32%), 상업지역(1.17%), 녹지지역(1.11%) 순으로 상승하였다.
□ (이용상황별)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지(1.40%), 전(1.38%), 상업용지(1.19%), 답(1.06%), 공장용지(0.93%), 임야(0.85%) 순으로 상승하였다.
[3] 토지거래량
□ 올해 상반기 전체토지(건축물 부속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140.7만 필지(1,102.6㎢) 거래되어 최고치를 기록했던 ‘15년 상반기 대비 8.1% 감소(전기 대비 △9.5%)하였다.
ㅇ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55.7만 필지(1023.2㎢)로 전년 상반기 대비 1.6% 증가하였다.
□ 지역별로 상반기 전체토지 거래량은 강원(24.1%), 제주(12.8%), 충북(6.5%) 순으로 증가한 반면, 세종(△39.4%), 대구(△35.0%) 등은 감소하였다.
ㅇ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61.3%), 울산(15.4%), 경기(12.3%) 순으로 증가한 반면, 부산(△17.9%), 대구(△10.3%)는 감소하였다.
□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최근 주택거래량이 일부 감소하면서 전체토지거래량은 전년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ㅇ 최근 저금리영향으로 개발수요가 있는 지역의 토지매매 수요가 지속되어 예년과 같이 꾸준한 거래추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하였으며
ㅇ “향후 높은 지가상승률을 보이는 지역에 대해서는 토지 가격과 거래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알부자" 부동산 전문 카페를 방문하세요~~
공감, 덧글로 응원 부탁드려요~~~
'부동산정보 > 부동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세법 개정안 주요내용 (0) | 2016.08.12 |
---|---|
2016년 상반기 건축 인허가 면적9%증가, 착공 3%감소, 준공 13%증가 (0) | 2016.08.11 |
2016.6월 전국 미분양주택 8% 증가 (0) | 2016.08.08 |
2016년 상반기 주택건설실적(인허가,착공,분양,준공) (0) | 2016.08.05 |
2016년 8~10월 전국 입주예정아파트 7.1만세대 (0) | 2016.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