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5년도 전국 건축물 현황
전국 건축물 총 6,986,913동, 35억3천4백만㎡ |
- 전년대비 수도권은 2.1%, 지방은 2.6% 증가 -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5년말 전국 건축물 동수는 전년 대비 75,625동(1.1%) 증가한 6,986,913동, 연면적은 82,717천㎡*(2.4%) 증가한 3,534,068천㎡라고 밝혔다.
* 서울 63빌딩 연면적(238,429㎡)의 346배
ㅇ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33,978천㎡(2.1%) 증가한 1,640,878천㎡이고, 지방은 48,739천㎡(2.6%) 증가한 1,893,190천㎡이다.
□ 용도별 면적을 살펴보면, 주거용이 2.8% 증가한 1,654,169천㎡(46.8%)로 가장 크고, 상업용은 1.8% 증가한 722,828천㎡(20.5%), 공업용은 4.5% 증가한 365,561천㎡(10.3%), 문교·사회용은 1.5% 증가한 309,049천㎡(8.7%)이다.
ㅇ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 수도권은 주거용이 2.6% 증가한 772,173천㎡(47.1%), 상업용은 2.3% 증가한 357,088천㎡(21.8%), 공업용은 6.0% 증가한 128,935천㎡(7.9%), 문교·사회용은 0.2% 증가한 137,081천㎡(8.4%)이며,
- 지방은 주거용이 3.1% 증가한 881,996천㎡(46.6%), 상업용은 1.3% 증가한 365,739천㎡(19.3%), 공업용은 3.7% 증가한 236,625천㎡(12.5%), 문교·사회용은 2.6% 증가한 171,968천㎡(9.1%)이다.
<세부 용도별 건축물 현황>
주거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ㅇ 세부 용도별 면적은 아파트가 1,008,859천㎡(61.0%)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332,134천㎡(20.1%), 다가구주택 152,856천㎡(9.2%), 다세대주택 110,423천㎡(6.7%), 연립주택 38,779천㎡(2.3%) 순이다.
ㅇ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 수도권은 아파트가 505,181천㎡(65.4%)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87,633천㎡(11.3%), 다세대주택 81,349천㎡(10.5%), 다가구주택 71,893천㎡(9.3%), 연립주택 22,203천㎡(2.9%) 순이며,
- 지방은 아파트가 503,677천㎡(57.1%)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244,500천㎡(27.7%), 다가구주택 80,963천㎡(9.2%), 다세대주택 29,074천㎡(3.3%), 연립주택 16,576천㎡(1.9%) 순이다.
ㅇ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을 살펴보면
- 단독주택은 전남(49.4%), 제주(41.2%), 강원(36.3%), 다가구주택은 대전(15.7%), 대구(14.6%), 울산(11.9%) 순이며,
- 아파트는 세종(74.3%), 광주(72.4%), 경기(69.0%), 연립주택은 제주(8.7%), 서울(3.8%), 강원(2.7%), 다세대주택은 인천(13.3%), 서울(13.2%), 제주(9.6%) 순이다.
상업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ㅇ 세부 용도별 면적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231,464천㎡(32.0%)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207,995천㎡(28.8%), 업무시설 109,922천㎡(15.2%), 판매시설 52,160천㎡(7.2%) 순이다.
ㅇ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 수도권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05,575천㎡(29.6%)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93,753천㎡(26.3%), 업무시설 76,803천㎡(21.5%), 판매시설 30,047천㎡(8.4%) 순이며,
- 지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25,889천㎡(34.4%)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114,241천㎡(31.2%), 업무시설 33,118천㎡(9.1%), 판매시설 22,112천㎡(6.0%) 순이다.
ㅇ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을 살펴보면
- 제1종근린생활시설은 전북(36.1%), 충북(35.6%), 경남(34.5%) 순이고, 제2종근린생활시설은 경북(40.4%), 세종(37.2%), 전북(37.0%) 순이며,
- 판매시설은 서울(9.3%), 대전(8.8%), 부산(8.6%), 업무시설은 서울(31.1%), 부산(17.7%), 세종(16.0%) 순이다.
<건축물 노후도 및 멸실현황>
ㅇ 준공 후 30년 이상된 건축물은 전국 2,511,900동으로 확인되어 전체(6,986,913동)의 36.0%를 차지하였다.
-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5.1%, 지방은 40.1%로 확인되어 지방의 건축물이 더 노후하였다.
ㅇ 용도별 노후 건축물 동수 비율을 살펴보면
- 수도권의 경우 주거용이 29.8%로 가장 높고, 상업용(22.3%), 문교·사회용(14.4%), 공업용(7.9%) 순이며,
- 지방은 주거용이 50.3%로 가장 높고, 상업용(23.7%), 문교·사회용(17.8%), 공업용(13.0%) 순이다.
《 노후 건축물 용도별 현황 》
ㅇ 준공 후 30년 이상된 건축물은 전국 2,511,900동으로 확인되어 전체(6,986,913동)의 36.0%를 차지하였다.
-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5.1%, 지방은 40.1%로 확인되어 지방의 건축물이 더 노후하였다.
ㅇ 용도별 노후 건축물 동수 비율을 살펴보면
- 수도권의 경우 주거용이 29.8%로 가장 높고, 상업용(22.3%), 문교·사회용(14.4%), 공업용(7.9%) 순이며,
- 지방은 주거용이 50.3%로 가장 높고, 상업용(23.7%), 문교·사회용(17.8%), 공업용(13.0%) 순이다.
<규모별, 소유주체별 현황>
ㅇ 우리나라의 최고층 건축물은 부산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80층)”이며, 50층 이상 초고층 건축물은 전년대비 5개동*이 증가한 94개동이다.
- 현재 건설 중인 초고층 건축물은 서울제2롯데월드(123층), 부산롯데타운(107층), 부산해운대관광리조트(101층) 등이다.
ㅇ 층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층 건축물 4,356천동(62.4%), 2~4층 건축물 2,279천동(32.6%), 5층 건축물 154천동(2.2%) 순이다.
ㅇ 면적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백㎡미만 건축물 3,253천동(46.6%), 1백~2백㎡미만 건축물 1,568천동(22.5%), 3백~5백㎡미만 건축물 715천동(10.2%) 순이다.
ㅇ 소유 주체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개인 소유 건축물 5,557천동(79.5%), 법인 소유 건축물 405천동(5.8%), 국·공유 소유 건축물 176천동(2.5%) 순이다.
<인구 및 토지면적당 건축물 현황>
ㅇ 전국 건축물의 1인당 면적은 전년대비 1.34㎡ 증가(67.24㎡→68.58㎡)하였으며, 수도권은 1.07㎡ 증가(63.35㎡→64.42㎡)하고, 지방은 1.61㎡ 증가(71.04㎡→72.65㎡)하였다.
ㅇ 지역별 1인당 건축물의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 주거용은 세종(39.79㎡), 경북(39.46㎡), 충북(34.95㎡) 순이고, 상업용은 제주(25.01㎡), 강원(17.72㎡), 서울(16.17㎡) 순이다.
ㅇ 전국 토지면적 대비 총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0.1% 증가한 3.5% (3,451천㎡→3,534천㎡)이며, 지역별로 수도권은 0.3% 증가한 13.9%, 지방은 전년 수준인 2.1%다.
- 시도별 연면적 비율은 서울이 0.8% 증가한 103.2%(619천㎡→624천㎡)로 가장 컸으며, 다음은 부산(28.2%), 대전(19.3%) 순이다.
ㅇ 2015년 멸실된 건축물의 동수는 전년대비 18.0% 증가한 53,601동, 연면적은 14.7% 증가한 12,228천㎡이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알부자" 부동산 전문 카페를 방문하세요~~
2015년 기준 건축물 현황 통계
1. 2015년 용도별 건축물 현황
2. 2015년 주거용 건축물 현황
3. 2015년 상업용 건축물 현황
4. 2015년 고층 건축물 현황
5. 2015년 노후 건축물 현황
6. 2015년 멸실 건축물 용도별 현황
7. 2015년 1인당 건축물 현황
8. 2015년 국토면적 대비 건축물 현황
9. 2015년 건축물 용도변화 현황
공감, 덧글로 응원 부탁드려요~~~
'부동산정보 > 부동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행강제금 차등 부과 등 (0) | 2016.02.25 |
---|---|
2016년 1월 주택매매거래량 6.2만건으로 감소 (0) | 2016.02.23 |
2016년 공공임대주택 11.7만호 입주자 모집 (0) | 2016.02.17 |
비도시지역 개발 개선 확대 (0) | 2016.02.15 |
'부동산 서비스 산업 발전 방안' 수립 (0) | 2016.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