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17~2020) 확정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17~2020) 확정
BRT 노선 확대, 환승 시설 확충 등 대중교통시설 투자 늘린다 |
「제3차 광역교통시행계획」수립을 통해 ‘20년까지 통행속도 2%· 대중교통수송 분담률 1.5% 향상 기대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수도권 등 5개 대도시권의 광역교통망 확충 및 운영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국가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17∼‘20)」을 확정·고시했다.
* 5개 대도시권: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대전권, 광주권
ㅇ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은 대도시권역에 대한 광역교통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광역도로·광역철도·비알티(BRT, 간선급행버스)·환승시설 등 광역교통시설 확충 및 투자에 관한 계획으로, 20년 단위의 장기 계획*인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의 실행계획이다.
* 국토종합계획(’00∼’20), 국가기간교통망계획(’01∼’20) 등 관련계획과 수립시기 일치를 위하여 ‘광역교통기본계획’ 수립시기도 변경함.(‘07∼’26 → ‘13∼’20)
** ‘3차 시행계획’은 기본계획의 수립시기와 일치하기 위해 ‘17∼’20으로 설정함.
□ 국토교통부는 「제3차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을 위해 국가·지자체의 교통 관련 계획 상 사업과 지자체 제안 사업 등을 대상으로 156개 후보사업을 선정하고, 사업타당성·교통여건·시급성 등을 감안하여 최종적으로 총 76개 사업을 선정했다.
ㅇ 특히, 이번 시행계획은 국가재정운용계획 상 사회간접자본(SOC)예산의 감소추세를 반영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광역도로 사업은 줄이고 BRT 노선 확대, 환승 시설 구축과 같이 비용 대비 효과가 큰 사업 위주로 선정했다.
ㅇ 그동안 시행계획은 광역교통시설 확충에 중점을 둔 시설계획이었으나, 이번 계획에는 광역교통시설 확충뿐만 아니라 철도 네트워크 효율을 높이고, 광역버스노선 확대를 제안하는 등 광역교통 체계개선 및 운영 효율화를 높일 수 있는 방안도 포함됐다.
□ 국토교통부는 시행계획 수립을 위해 공청회(11월) 등을 통해 관계 기관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관계 기관 협의를 거쳤으며, ‘광역교통정책실무위원회’(12월)와 ‘국가교통위원회’(12월) 심의를 통해 확정·고시했다.
ㅇ 또한 시행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기존의 ‘광역교통기본계획’ 상 선정사업의 현황을 수정하고 신규 사업을 추가하여,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2013∼2020)」 변경·고시도 동시에 진행했다.
ㅇ 이번 계획 완료 시 대중교통수단 분담률과 평균 통행속도를 각각 1.5%, 2% 향상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약 3% 감축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주요내용>>
□ 계획 개요
ㅇ (수립배경) 제3차 광역교통시행계획은 20년 장기계획인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을 구체화하는 실행계획
ㅇ (계획범위) ‘17∼’20년 간 수도권 등 5개 대도시권의 광역교통시설(도로·철도·BRT·환승시설등) 및 투자에 관한 계획
*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13∼’20)과 수립시기를 일치하기 위하여 4년으로 설정
□ 주요 내용
ㅇ (사업선정) 기본계획, 국가·지자체의 관련 계획상 사업 및 지자체 제안사업을 후보군(156개 사업)을 대상으로,
- 법적기준·시급성·경제성·교통여건 등을 감안하여 76개 사업을 선정(광역도로 25개, 광역철도 16개, BRT 9개, 환승시설 26개)
* 3차 시행계획(총 76개)는 2차 시행계획(총 73개)에 비해 광역도로 사업수 감소(36개 → 25개), 환승시설 사업수 증가(17 → 26개)
ㅇ (투자계획) 총 투자규모는 3조 7,888억원
- ‘2차 시행계획’의 투자계획(4조 1,238억원)에 비해 광역도로의 투자규모(23%→13%)를 낮추고, 철도(70%→80%) 및 BRT(3%→5%)는 확대
ㅇ (특징·목표) 2차 계획에 비해 도로사업의 비중을 축소하고, 철도·BRT사업을 확대하여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사업 강화
- 동 계획 완료 시 대중교통 수단분담률 및 평균 통행속도 각각 1.5%, 2% 향상, 시설용량 4.4% 증대 목표
* (평균통행속도) 수도권(27.3 → 27.9km/h), 부산·울산권(50.09 → 52.75km/h)
<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선정사업 현황>
구분 |
선정사업 수 |
연장/개소 |
총사업비 | |
광역도로 |
수도권 |
9개 |
48.9km |
1조 1,516억원 |
부산·울산권 |
5개 |
20.2km |
6,504억원 | |
대구권 |
5개 |
34.3km |
9,416억원 | |
대전권 |
3개 |
13.6km |
2,170억원 | |
광주권 |
3개 |
24.8km |
2,869억원 | |
계 |
25개 |
141.81km |
3조 2,4757억원 | |
광역철도 |
수도권 |
13개 |
358.1km |
26조 6,333억원 |
대구권 |
2개 |
70.6km |
3,735억원 | |
대전권 |
1개 |
83.1km |
7,188억원 | |
계 |
16개 |
511.8km |
27조 7,256억원 | |
간선급행버스체계 (BRT) |
수도권 |
5개 |
71.4km |
2,153억원 |
부산·울산권 |
3개 |
67.2km |
2,499억원 | |
대전권 |
1개 |
11.5km |
740억원 | |
계 |
9개 |
150.1km |
5,392억원 | |
환승시설 |
수도권 |
환승센터·복합환승센터 |
17개 |
1조 4177억원 |
부산·울산권 |
환승센터·복합환승센터 |
6개 |
5,031억원 | |
대전권 |
환승센터·복합환승센터 |
2개 |
339억원 | |
광주권 |
복합환승센터 |
1개 |
2,480억원 | |
계 |
- |
26개 |
2조 2027억원 |
□ 광역교통시설 선정사업
1) 광역도로
《수도권》
축구분 |
사 업 명 |
노선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황 |
선정 단계 | |
의정부축 |
1 |
상도교-호장교간 도로개설 |
상도교-호장교 |
1.8 |
397 |
공사단계 |
단기 |
하남축 |
2 |
감일∼초이 |
서울 거마로∼하남시 초이동 |
6.6 |
2,837 |
공사단계 |
단기 |
광명축 |
3 |
천왕-광명시계 |
서울시 구로구 천왕동∼시흥시 과림동 |
6.9 |
1,430 |
공사단계 |
단기 |
의정부축 |
4 |
동부간선도로 |
녹천지하차도∼장암동 |
9.5 |
3,850 |
공사단계 |
단기 |
김포축 |
5 |
원당∼태리 |
원당∼태리 |
5.0 |
560 |
계획단계 (인천구간완료) |
단기 |
구리축 |
6 |
태릉∼구리IC간 확장 |
태릉∼구리IC |
4.7 |
1,172 |
설계단계 |
단기 |
인천- 김포축 |
7 |
인천서구 거첨도 ∼약암리간 도로개설 |
거첨도∼약암리 |
6.4 |
466 |
계획단계 |
단기 |
인천/ 부천축 |
8 |
벌말로 도로확장 |
봉오고가교 사거리∼인천벌말로 |
5.9 |
576 |
계획단계 |
중기 |
인천/ 부천축 |
9 |
봉오대로-김포공항간 도로확장 |
오정로 |
2.1 |
228 |
계획단계 |
중기 |
합계(9개) |
48.9 |
11,516 |
- |
- |
《부산·울산권》
축구분 |
사업명 |
노선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황 |
선정 단계 | |
울산/경주축 |
1 |
국도7호선 확장 |
신답교∼경주시계 |
4.6 |
849 |
공사단계 |
단기 |
부산/김해축 |
2 |
동김해IC∼식만JC |
김해서 어방동 ∼부산시 강서구 식만동 |
4.6 |
815 |
설계단계 |
단기 |
부산/김해축 |
3 |
초정∼화명 |
초정∼안막, 화명대교 및 접속도로 |
1.3 |
829 |
설계단계 |
단기 |
부산/김해축 |
4 |
강서첨단물류도시 연결도로 |
부산시 강서구 강동동 ∼김해시 대동면 주중리 |
2.1 |
791 |
계획단계 |
단기 |
울산/양산축 |
5 |
웅촌∼용당간 연결도로 |
울주군 웅촌면 ∼양산시 웅상읍 용당리 |
6.3 |
1,414 |
구상단계 |
중기 |
합계(5개) |
- |
18.9 |
4,698 |
- |
- |
《대구권》
축구분 |
사업명 |
노선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황 |
선정 단계 | |
왜관 구미축 |
1 |
대구 다사 ∼ 왜관간 도로 |
달성군 다사읍 ∼ 칠곡 왜관읍 |
9.3 |
1,756 |
설계단계 |
단기 |
고령축 |
2 |
대구 다사 ∼ 다산간 도로 |
달성군 다사읍 ∼ 고령 다산면 |
3.3 |
1,100 |
계획단계 |
단기 |
군위축 |
3 |
대구 조야 ∼ 칠곡 동명간 도로 |
대구 북구 ∼ 칠곡 동명면 |
9.7 |
3,350 |
계획단계 |
단기 |
경산축 |
4 |
대구 방촌 ∼ 경산 대정간 도로 |
대구 동구 ∼ 경산 대정동 |
7.0 |
2,320 |
계획단계 |
중기 |
경산축 |
5 |
대구시계 ∼ 경산 압량간 도로 |
대구시계 ∼ 경산 조영동 |
5.0 |
890 |
구상단계 |
중기 |
합계(6개) |
34.3 |
9,416 |
- |
- |
《대전권》
축구분 |
사업명 |
노선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황 |
선정 단계 | |
청주축 |
1 |
대전 와동-신탄진간 도로 (국도17호선 우회도로) 건설 |
대전 와동-신탄진 |
5.7 |
1,298 |
계획단계 |
단기 |
논산/계룡축 |
2 |
서대전IC-두계3가 (국도4호선) 확장 |
서대전IC-두계3가 |
6.0 |
682 |
설계단계 |
단기 |
논산/계룡축 |
3 |
계룡 신도안-대전 세동 도로건설 |
계룡 신도안-대전 세동 |
1.9 |
190 |
계획단계 |
단기 |
합계(3개) |
13.6 |
2,170 |
- |
- |
《광주권》
축구분 |
사업명 |
노 선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 황 |
선정 단계 | |
나주축 |
1 |
광주송정2교∼나주시계 |
광주 송정동 ∼ 나주시계 |
5.7 |
714 |
공사단계 |
단기 |
나주축 |
2 |
광주대촌∼금천간 도로 |
광주대촌사거리 ∼ 나주 금천면 |
9.1 |
917 |
계획단계 |
단기 |
장성축 |
3 |
광주하남∼장성삼계 |
광주 하남 ∼ 장성 상무대 |
10.0 |
1,238 |
계획단계 |
중기 |
합계 (3개) |
24.8 |
2,869 |
- |
- |
2) 광역철도
《수도권》
축구분 |
사업명 |
노선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황 |
선정 단계 | |
성남축 |
1 |
신분당선 연장 |
강남∼용산 |
7.8 |
13,128 |
공사단계 |
단기 |
구리축 |
2 |
별내선 |
암사∼구리∼별내 |
12.9 |
12,971 |
공사단계 |
단기 |
의정부축 |
3 |
진접선(4호선 연장) |
당고개∼진접 |
14.8 |
13,905 |
공사단계 |
단기 |
하남축 |
4 |
하남선(5호선 연장) |
강일역∼검단산역 |
7.7 |
9,868 |
공사단계 |
단기 |
인천-시흥/안산축 |
5 |
수인선 복선전철 |
수원∼인천 |
52.8 |
19,223 |
공사단계 (1,2단계완료) |
단기 |
광명축 |
6 |
신안산선 복선전철 |
안산,시흥∼여의도(∼서울역) |
43.6 |
33,895 |
설계단계 |
단기 |
고양/ 파주축 |
7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A |
(1단계) (파주∼)킨텍스∼삼성 |
36.4 |
28,998 |
설계단계 |
단기 |
성남축 |
8 |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
(2단계) 삼성∼동탄 |
39.5 |
15,547 |
설계단계 |
단기 |
의정부축 |
9 |
의정부 양주선 (7호선 연장) |
도봉산∼옥정 |
15.0 |
6,337 |
설계단계 |
단기 |
성남축 |
10 |
신분당선 연장 |
(2단계) 광교∼호매실 |
11.1 |
11,169 |
계획단계 |
중기 |
인천/ 부천축 |
11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B |
송도∼청량리 |
48.7 |
46,038 |
계획단계 |
중기 |
의정부축, 과천/ 안양축 |
12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C |
의정부∼금정 |
47.9 |
39,660 |
계획단계 |
중기 |
고양/ 파주축 |
13 |
신분당선 서북부연장 |
동빙고∼삼송 |
21.7 |
12,119 |
계획단계 |
중기 |
구리축 |
(14) |
별내선 연장 |
별내선 종점∼ 진접선 001역 |
3.2 |
2,384 |
구상단계 |
추가검토사업 |
합계(13개) |
359.9 |
262,858 |
- |
- |
주 : 추가검토사업은 장래 여건변화 등에 따라 추진검토가 필요한 사업
《대구권》
축구분 |
사업명 |
노선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황 |
선정 단계 | |
경산축, 왜관·구미축 |
1 |
대구권 광역철도 |
구미∼경산 |
61.9 |
1,171 |
설계단계 |
단기 |
영천축 |
2 |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연장(안심∼하양) |
안심∼하양 |
8.7 |
2,564 |
설계단계 |
단기 |
합계(2개) |
70.6 |
3,735 |
- |
|
《대전권》
축 구 분 |
사 업 명 |
노선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황 |
선정 단계 | |
논산/계룡축 |
1 |
충청권 광역철도 |
논산-조치원 |
83.1 |
7,188 |
설계단계 |
단기 |
합계(1개) |
83.1 |
7,188 |
- |
- |
3)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수도권》
축 구 분 |
사 업 명 |
노선 |
차로수 (왕복)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황 |
선정 단계 | |
인천/부천축 |
1 |
부천∼신방화역 |
부천고강지하차도∼서울신방화역 |
- |
3.3 |
576 |
설계단계 |
단기 |
과천/안양축 |
2 |
시흥대로∼국도1호선 |
장안구청사거리∼안양육교 삼거리(구로디지털단지역) |
8∼10 |
25.9 |
501 |
설계단계 |
단기 |
과천/안양축 |
3 |
남태령로∼국도47호선 |
안양 호계사거리∼사당역 |
8∼10 |
13.4 |
803 |
구상단계 |
단기 |
의정부축 |
4 |
도봉로∼국도43호선 |
포천 송우지구∼도봉산역 |
6 |
11.4 (20.4) |
171 |
구상단계 |
중기 |
고양/파주축 |
5 |
중앙로∼개화동로 |
대화역∼김포공항역 |
8∼10 |
17.4 |
102 |
구상단계 |
중기 |
총계(5개) |
- |
71.4 (80.4) |
2,153 |
- |
- |
주: 사업 연장은 실제 공사구간을 의미하며, 괄호 안의 값은 해당 노선의 총 구간을 의미
《부산·울산권》
축 구 분 |
사 업 명 |
노선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황 |
선정 단계 | |
부산/ 창원·거제축 |
1 |
부산하단∼진해용원교차로 |
하단∼진해 |
15.9 |
392 |
계획단계 |
중기 |
부산/울산축 |
2 |
내성교차로∼무거삼거리 |
내성∼무거 |
40.3 |
1,667 |
계획단계 |
중기 |
부산/울산축 |
3 |
울산 BRT 건설사업 |
태화강역∼신복로타리 |
11.0 |
440 |
계획단계 |
중기 |
합계(3개) |
67.2 |
2,499 |
- |
- |
《대전권》
축구분 |
사업명 |
노선 |
연장 (km) |
사업비 (억원) |
현황 |
선정 단계 | |
세종축 |
1 |
대전역-와동IC 광역BRT 건설사업 |
대전역∼와동IC |
11.5 |
740 |
공사단계 |
중기 |
합계(1개) |
11.5 |
740 |
- |
- |
4) 환승시설
《수도권》
축 구 분 |
사 업 명 |
기능 |
규모 (면) |
사업비 (백만원) |
현황 |
선정 단계 | |
과천/안양축 |
1 |
사당역 |
복합환승센터 |
200 |
48,780 |
계획단계 |
단기 |
과천/안양축 |
2 |
병점역 |
복합환승센터 |
300 |
2,000 |
계획단계 |
단기 |
성남축 |
3 |
복정역 |
복합환승센터 |
530 |
29,900 |
계획단계 |
단기 |
광명축 |
4 |
시흥시청역 |
복합환승센터 |
300 |
30,000 |
계획단계 |
단기 |
성남축 |
5 |
지제역 |
환승센터 |
100 |
18,000 |
계획단계 |
단기 |
구리축 |
6 |
도농역 |
복합환승센터 |
130 |
5,000 |
계획단계 |
단기 |
과천/안양축 |
7 |
수원 |
환승센터 |
50 |
50,000 |
공사단계 |
단기 |
김포축 |
8 |
김포공항역 |
복합환승센터 |
300 |
30,000 |
구상단계 |
단기 |
고양/파주축 |
9 |
킨텍스역 복합환승센터 |
복합환승센터 |
300 |
30,000 |
계획단계 |
단기 |
하남축 |
10 |
강일역 |
환승센터 |
50 |
1,000 |
구상단계 |
단기 |
성남축 |
11 |
삼성역일대통합역사및지하공간개발사업 |
복합환승센터 |
251 |
1169,100 |
계획단계 |
단기 |
인천/부천축 |
12 |
검암역 |
환승센터 |
50 |
1,000 |
계획단계 |
단기 |
성남축 |
13 |
구성역 멀티환승터미널 |
환승센터 |
50 |
500 |
구상단계 |
중기 |
인천/부천축 |
14 |
청라지구 |
환승센터 |
50 |
241 |
계획단계 |
중기 |
인천/부천축 |
15 |
강화 온수리 |
환승센터 |
58 |
1,800 |
계획단계 |
중기 |
인천-시흥/ 안산축 |
16 |
운서역 |
환승센터 |
50 |
200 |
계획단계 |
중기 |
인천-김포축 |
17 |
주안역 |
환승센터 |
50 |
181 |
계획단계 |
중기 |
합계(17개) |
- |
2,819 |
1,417,702 |
- |
- |
《부산·울산권》
축 구 분 |
사 업 명 |
기능 |
규모 (면) |
사업비 (백만원) |
환승수단 |
현황 |
선정 단계 | |
부산/김해축 |
1 |
김해 장유 환승센터 |
환승센터 |
3,600 |
500 |
버스 |
계획단계 |
단기 |
부산/창원축 |
2 |
명지신도시 환승센터 |
환승센터 |
500 |
1,000 |
버스/철도 |
구상단계 |
단기 |
부산/김해축 |
3 |
대저역 환승센터 |
환승센터 |
500 |
1,000 |
버스/철도 |
구상단계 |
단기 |
부산/울산축 |
4 |
태화강역 환승센터 |
환승센터 |
5,600 |
14,000 |
버스/철도 |
계획단계 |
단기 |
부산/울산축 |
5 |
울산역 복합환승센터 |
복합환승센터 |
37,904 |
257,200 |
철도/버스 |
설계단계 |
|
부산/김해축 |
6 |
사상역 복합환승센터 |
복합환승센터 |
45,000 |
229,400 |
버스/철도 |
계획단계 |
|
합계(8개) |
- |
93,104 |
503,100 |
- |
- |
|
《대전권》
축 구 분 |
사 업 명 |
기능 |
규모 (면) |
사업비 (억원) |
환승수단 |
현 황 |
선정 단계 | |
청주축 |
1 |
청주시 시외버스터미널 환승센터 확충 |
환승센터 |
150 |
30 |
버스/버스 |
설계단계 |
단기 |
세종축 |
2 |
유성 복합환승센터 내 환승시설 건설 |
복합환승센터 |
459 |
309 |
도시철도/버스 |
설계단계 |
단기 |
합계(2개) |
- |
609 |
339 |
- |
- |
|
《광주권》
축 구 분 |
사 업 명 |
기능 |
규모 (면) |
사업비 (억원) |
환승수단 |
현황 |
선정 단계 | |
나주축 함평축 |
1 |
송정역 복합환승센터 |
복합환승센터 |
1,600 |
2,480 |
철도/철도 철도/버스 |
계획단계 |
단기 |
합계(1개) |
- |
1,600 |
2,480 |
- |
- |
|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알부자" 부동산 전문 카페를 방문하세요~~
공감, 덧글로 응원 부탁드려요~~~